2007.10.01
웹2.0 과 RIA
- 웹2.0
웹2.0은 기존처럼 정보를 보여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고,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 진 것이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생겨난 것으로 블로그 같은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즉,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환경인 것이다. 장점으로는 사용성 강화, 표준 호환성 문제 개선, 별도 플러그인 프로그램 없이 사용가능하며 사용자 페이지를 자유자재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점 등이다.
- RIA
기존 웹 프로그램 모델은 서버를 중심으로 모든 처리가 수행되므로 클라이언트는 단순히 결과의 디스플레이에만 사용되었다. 그래서 서버에 많은 작업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결과가 처리될 때 기다려야 하고, 처리 시간이 길어지면 서버와의 통신이 끊어져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기존의 평면적 표현과 순차적 프로세스를 역동적인 UI와 DB의 연동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프로세스를 처리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바로 RIA(Rich Internet Application)이다.
RIA는 기존의 HTML보다 섬세하고 역동적인 화면 연출이 가능하며, 한 페이지에서 모든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 중심의 웹 기술로 볼 수 있다. 또한 DB액세스 지원과, 개발자가 원하는 형태의 화면개발이 가능하여 많은 기업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이는 기술의 발전 속도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개발자와 사용자의 욕구와 기대에 부응하여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 웹2.0과 RIA
웹 2.0과 RIA는 사용자 중심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웹 2.0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블로그와 같은 환경을 말하는 것이고, RIA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과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인터페이스 기술이라는 점에서 조금 다르게 볼 수 있다.
최근에 웹2.0에 RIA를 적용시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언어적 한계와 호환성 문제, 사용자 편의성 문제 등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안 인 것이다. 이로 인해 개발자는 특정 업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보다 직관적이고 풍부한 UI구현으로 사용자의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웹2.0환경에서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와 공유를 통해 웹 콘텐츠가 의미를 가지게 되고 다른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연계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적인 기술보다는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RIA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솔직히 위의 내용은 내가 이해한 선에서 나의 생각으로 정리한 것으로, 정확히 맞는 내용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능거..;;
'Skill & Stats > 분석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과 교육에관한 연구 (0) | 2008.04.14 |
---|---|
매체 속의 매니아 문화 (0) | 2008.04.11 |
동영상 UCC 중심의 에듀테인먼트 트렌드 및 발전 전망 (0) | 2008.04.06 |
미국 애플사의 i-폰이 모바일 콘텐츠 측면에서 가져다주는 미래의 가치 (0) | 2008.04.06 |
영상 제작 과정 (0) | 2008.04.06 |